김규하 육군참모총장 프로필: 나이 고향 학력 및 포병 DNA로 진급

김규하 육군참모총장 후보자 프로필 썸네일
김규하 육군참모총장 프로필

포병 장교로 시작해 합참 전략기획과 수도방위, 지상작전 지휘를 거쳐 육군참모총장에 오른 인물입니다. 대규모 병력·화력·도심 방어를 모두 경험했고, 미사일·화력 통합 운용을 지휘석에서 조율해 본 드문 커리어를 갖췄습니다. 포병식 정밀함과 합참식 균형 감각을 동시에 장착한 총장으로 평가됩니다.

커리어를 따라가면 ‘현장—합참—전략’이 하나의 선으로 이어집니다. 제52보병사단장으로 지역 방어의 기본을 점검하고, 수도방위사령관으로 초단위 의사결정을 숙달했으며,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전구급 작전의 흐름을 체득했습니다. 

이어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으로 화력체계를 통합했고, 2025년 9월 제52대 육군참모총장에 취임했습니다.

포병 소위 임관부터 전략까지

1968년생으로 간원도 춘천 출신으로 강원고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47기로 입교, 1991년 포병 소위로 임관했습니다. 국방대학교에서 안보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중령 때 포병대대장을 지휘했고, 대령으로 포병단장과 군단 화력참모를 맡아 대화력전을 설계했습니다. 

합참 화력과장—비서실장—전략기획차장을 거치며 '화력에서 전략'으로 스케일을 확장했습니다. 소장 진급 후 제52보병사단장과 합참 전략기획부장(핵·WMD 대응센터장 겸)을 지냈고, 중장으로 수도방위사령관·지상작전사 부사령관을 역임했습니다. 

2024년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2025년 육군참모총장으로 이어졌습니다.

김규하 육군참모총장
김규하 육군참모총장/이미지=국방부
구분 내용
이름·출생 김규하 / 1968년생 / 강원 춘천
학력 강원고, 육군사관학교 47기(1991 임관), 국방대학교 안보학 석사
복무·병과 대한민국 육군(1991~현재) · 포병
현 계급·보직 대장 · 제52대 육군참모총장(2025.9.2.~)
주요 보직(요약) 포병대대장 → 포병단장 → 제1군단 화력참모 → 합참 화력과장 → 합참 비서실장 → 합참 전략기획차장 → 제52보병사단장 → 합참 전략기획부장 겸 핵·WMD 대응센터장 → 수도방위사령관 → 지상작전사 부사령관 →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 → 육군참모총장

타임라인으로 보는 커리어 포인트

중령급에서 포병대대장으로 화력 운용의 기본을 체득했습니다. 대령 진급 뒤 포병단장—군단 화력참모로 올라서며 지원화력의 배치를 '지도' 단위로 설계했습니다. 2017년 준장 진급과 함께 합참 비서실장을 맡아 부대·본부·국방부 라인의 협업을 익혔습니다.

전략기획차장으로 합동·연합 작전 설계를 담당했습니다. 2019년 소장 진급 후 52사단장으로 지역 방어와 동원 태세를 점검했고, 합참 전략기획부장(핵·WMD 대응센터장 겸)으로 전략·핵억제 의제를 다뤘습니다. 

2022년 중장 진급 뒤 수도방위사령관, 지상작전사 부사령관을 연달아 맡아 도심 방어와 전구급 작전을 실전적으로 연동했습니다. 2024년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으로 미사일·포병·항공 화력을 결속했고, 그 경험을 토대로 총장에 취임했습니다.

리더십 스타일과 과제

키워드는 기본기와 표준화, 신뢰입니다. 절차를 지키는 부대가 빠르고 강하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현장 소통을 강화해 지휘부와 말단의 간격을 줄였습니다. 총장으로서의 첫 과제는 세 가지 결속입니다. 

화력·미사일·정보의 결속, 도심 방어와 전구 작전의 결속, 장병 신뢰와 조직 규범의 결속입니다. 훈련 강도와 인권·복지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합참 조정과 부대 현장의 간극을 줄이는 실행력을 입증해야 합니다.

동기: 육사 47기의 얼굴들

같은 47기 동기들로는 손식 전 지상작전사령관, 강호필 전 지상작전사령관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병과가 다른 동기들이 각자의 루트에서 고위 지휘관에 오른 사례는, 한 기수 내에서도 다양한 궤도가 공존함을 보여줍니다. 

동기 네트워크는 정보와 경험이 흐르는 통로로 작동하며, 전략 현안과 부대 애로를 동시에 청취하는 비공식 채널이 되기도 합니다.

맺음말

포병대대장의 탄약 표에서 합참의 전략 지도까지 스케일을 확장해 온 경력 위에, 미사일전략사 경험이 더해졌습니다. 전구급 화력과 도심 방어, 합참 조정과 현장 운용을 하나의 체계로 묶는 일이 앞으로의 관전 포인트입니다. 세부 연·월과 추가 이력은 추후 연결할 공식 프로필 링크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