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민의힘 비례대표 의원 명단: 국민의미래 비례 득표율

국힘 비례대표 명단 썸네일
국민의힘 22대 비례대표 의원 명단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024.4.10)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전면 적용되면서 거대 양당이 위성정당을 창당해 비례득표를 극대화한 선거였습니다. 국민의힘은 별도 비례정당인 국민의미래를 창당해 비례 명부를 제출했고, 선거 다음 날 개표가 마무리되며 의미 있는 의석을 확보했습니다.

국민의미래의 득표수·득표율, 비례 당선 범위, 후보 추천 과정의 논란을 데이터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아래에 핵심 수치를 표로 요약하고, 이어서 당선자 명단과 쟁점을 차례로 살펴봅니다. 총선 이후 국민의미래와 국민의힘은 합당했습니다.

국민의미래 득표 결과 보기

지표
득표수 10,395,264표
득표율 36.67%
비례 당선 18석

비례대표 정당투표에서 국민의미래는 36.67%(10,395,264표)를 얻어 18석을 확보했습니다. 이는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 더불어민주당 계열 비례정당(민주연합) 14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2석과 함께 전체 46석 배분 결과를 형성했습니다.

비례대표 후보 순위와 당선자

비례 순번 기준으로 1번부터 18번까지가 당선선 안에 들었습니다. 후보자 이름·약력은 아래 연속 표로 정리해 게시하면 독자가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순번 후보자 약력
1최보윤(프로필)법무부 인권정책자문단 자문위원
2박종권현대제철 책임연구원
3최수진전 OCI 부사장
4진종오전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조직위원장
5강선영전 육군항공작전사령관
6김건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7김소희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8인요한전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9김민전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10김위상한국노총 대구지역본부 의장
11한지아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
12유용원전 조선일보 군사전문기자
13조배숙전 국회의원
14김장겸전 MBC 사장
15김예지제21대 국회의원
16안상훈전 대통령실 사회수석
17이달희전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18박준태(프로필)크라우랩스 대표
19이소희전 세종시의원
20남성욱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장
21강세원전 대통령실 행정관
22김화진전 국민의힘 전남도당위원장
23임보라전 국민의힘 당무감사실장
24서보성전 국민의힘 대구시당 사무처장
25정혜림전 SK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
26이승현한국영상제작협동조합 이사장
27김민정전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장
28김광한한국지체장애인협회 중앙회장
29김미현전 영화진흥위원회 연구본부장
30김영인전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수석전문위원
31최연우휴먼에이드 공동대표
32백종욱전 국가정보원 제3차장
33이윤정전 광명시의원
34이덕재전국상인연합회 청년위원장
35김소양전 서울시의원

후보 추천 과정의 핵심 논란

  • 위성정당 전략 논란: 준연동형 비례 취지를 우회한다는 ‘꼼수’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거대 양당이 각각 위성정당을 만들어 비례 득표를 흡수하면서 소수정당 대표성 약화 우려가 커졌습니다.
  • 추천·심사 절차의 투명성: 일부 인선의 기준과 검증 과정이 충분히 공개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따랐습니다. 사회 다변화 반영·전문성 검증·이해충돌 점검 등 절차적 투명성 요구가 확대됐습니다.
  • 정치적 신뢰성 훼손 우려: ‘의석 확보용 플랫폼’이란 인식이 고착되며 제도 신뢰와 시민 수용성에 부담을 남겼습니다. 향후 제도 보완의 필요성이 공론화됐습니다.

제도·정치적 시사점

  1. 위성정당 규율 강화: 위성정당 제한 규정 또는 명부 연동성 강화 등 제도적 보완 논의가 필요합니다.
  2. 명부 투명성 표준화: 공천 기준·검증 결과·이해충돌 점검 내역을 사전에 공개하는 ‘표준 템플릿’을 마련하면 분쟁 소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유권자 정보 접근성: 후보 약력·전문성·윤리성 정보를 구조화(표/요약본)해 공개하면 비례정당의 책임성이 높아집니다.
  4. 다당제 취지 회복: 소수정당이 실질적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봉쇄조항·의석 배분 방식의 세밀조정이 요구됩니다.

마무리

국민의힘의 위성정당 국민의미래는 비례대표 투표에서 10,395,264표(36.67%)를 얻어 18석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략적 성과였지만, 추천 절차의 투명성과 제도 취지 논란을 남겼습니다. 

다음 선거까지는 위성전략을 억제하고 공천 공개·검증 체계를 정교화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본문 표를 활용해 당선 범위와 논란 포인트를 구조화하면, 독자는 결과와 쟁점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