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선 후보별 공약 비교] 이재명 vs 김문수 vs 이준석 (외교·안보·정치)

📌 목차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국제 정세의 격변 속에서 치러지고 있으며, 외교와 안보, 그리고 정치개혁은 향후 대한민국의 국가운영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각 후보는 자신만의 전략과 비전 아래 안보 대응, 외교 노선, 권력기관 개혁 등 국가의 기본 틀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인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 

    21대-대선-이재명-김문수-이준석-후보-공약비교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후보 공약<ⓒ정보창고K>

    이번 글에서는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세 후보의 외교·안보 전략과 정치·제도 개혁 구상을 비교 분석해 본다. 유권자들의 최종 선택을 위해 꼼꼼하게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1. 외교·안보 정책 비교

    • 이재명: 평화체제 구축, 남북경제협력 재개, 전략적 자율 외교, 방산 수출 250억 달러 목표
    • 김문수: 전술핵 재배치, 확장억제 강화, 국가보안법 강화, 군 가산점 부활, 여성복무제 도입
    • 이준석: 장교 선발제 개편, 병역 인센티브 확대, 군 예산 투명화, 실리 중심 외교 확대

    2. 정치·제도 개혁 공약 비교

    • 이재명: 검찰 수사권 분리, 공수처 독립성 강화, 국민소환제 도입, 방송 및 감사원 개혁
    • 김문수: 검찰 독립성 유지, 국가보안법 강화, 공수처 폐지, 국회의원 정수 축소
    • 이준석: 정부 부처 13개 축소, 공수처 폐지, 예산기획 기능 독립, 청년 정치 사다리법

    3. 외교 안보 정치 공약 비교표

    분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외교·안보 평화체제, 방산수출, 전략적 자율 외교 전술핵 재배치, 국가보안법 강화, 여성복무제 장교 선발제, 복무-학업 연계, 국방 정예화
    정치·제도 검찰·방송개혁, 소환제, 직접민주주의 확대 보수 원칙 유지, 공수처 폐지, 정수 축소 부처 축소, 예산기획 독립, 청년 정치 활성화

    4. 정책 대결과 전망

    외교, 안보, 정치 제도는 국가 운영의 근간을 이루는 축이다. 이재명 후보는 권력기관 개혁과 평화외교, 직접민주주의 확대를 통해 시민 중심 국가를 지향하며, 김문수 후보는 안보 강화와 보수적 질서 회복에 방점을 둔다.

    이준석 후보는 구조적 효율화와 실용주의적 접근으로 청년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한 제도 혁신에 중점을 둔다. 유권자들은 이처럼 서로 다른 국가 개혁 청사진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큰 틀을 맡길 지도자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