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전두환 전 대통령 나이 학력 고향 및 '12·12'와 '5·18' 진압

'12·12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한 '5·18 광주민주항쟁'을 무력으로 진압했던 대한민국의 제11·12대 대통령 전두환은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논쟁적인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프로필과 생애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군부 쿠데타를 주도한 전두환 전 대통령 썸네일

전두환은 군사정권의 실질적 시초로 여겨지는 5공화국을 이끌었으며,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고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무력 진압한 장본인입니다. 동시에 정권 후반에는 대통령 직선제 개헌의 계기를 마련한 6월 항쟁과 맞물리며 퇴임 후 사법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생애와 정치 이력, 주요 사건사고, 선거 결과, 정책과 공과, 그리고 역사적 평가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두환 전 대통령 프로필

항목 내용
이름 전두환 (全斗煥)
출생 1931년 1월 18일, 경상남도 합천군
사망 2021년 11월 23일, 서울 연희동 자택 (향년 90세)
직업 군인(대장 예편), 정치인
대통령 임기 1980년 8월 27일 ~ 1988년 2월 24일
소속 정당 민주정의당 (1981~1988)

2. 생애 및 정치적 배경

전두환은 대구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51년 육군사관학교 11기로 입교하며 군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1961년 5·16 군사정변에 협력하며 박정희의 신임을 얻었습니다. 이후 중앙정보부와 수도경비사령부, 공수특전단 등 요직을 거치며 육군 내 사조직인 '하나회'를 중심으로 세력을 구축했습니다.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직후, 당시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은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해 군을 장악하였고, 이어 '5·17 쿠데타'를 통해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3. 주요 사건사고 및 정치적 논란

◾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압

1980년 5월, 광주에서 일어난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에 대해 전두환의 신군부는 계엄군을 투입해 무력 진압에 나섰고, 수백 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실종되는 참극이 벌어졌습니다. 이는 그의 정치 인생 전체를 통틀어 가장 심각한 인권 탄압으로 기록되며, 국내외적으로 큰 비판을 받았습니다.

◾ 삼청교육대 운영

전두환 정권은 범죄자·부랑자·정치적 반대자 등을 대상으로 삼청교육대를 운영하며 강제 구금·폭행·노역 등을 감행했고, 이는 인권 침해 논란으로 이어졌습니다.

◾ 언론 통폐합, 정치 탄압

정권 초기에는 언론사를 강제로 통폐합하고 비판적 언론인을 해직하는 등 언론 자유를 심각하게 제한했습니다. 또한 공안정국 조성을 통해 반정부 인사를 체포하거나 감시했습니다.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정당 득표율 결과
1980 제11대 대통령 선거 무소속 99.37% 당선
1981 제12대 대통령 선거 민주정의당 90.11% 재선

5. 주요 정책과 업적

  • 제5공화국 헌법 제정: 7년 단임제 도입
  • 서울 아시안게임(1986), 서울올림픽 유치(1988 확정)
  • 경제 성장 기반 유지: 고속도로·중화학 산업 확장
  • 군사정권 종식 기반 제공: 6·29 선언 유도

6. 역사적 평가와 사법처리

전두환은 퇴임 후인 1995년에 내란죄 · 반란죄 · 뇌물수수죄 등으로 기소되었습니다. 1심에서는 사형, 2심에서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습니다. 그러나 1997년 김대중 정부의 국민 통합 명분으로 사면 복권되었습니다.

하지만 전두환은 끝내 5·18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고, 추징금도 납부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논란 속에 2021년 11월 23일 향년 90세로 사망했습니다.

7. 결론

전두환은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매우 복잡하고도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룬 국가 성장과 국제 외교 성과가 있었던 반면, 광주민주화운동 진압과 인권 탄압 등은 치명적인 오점으로 남았습니다. 그의 공과를 평가할 부분이 있겠지만, 국민들의 생명과 인권을 짓밟은 반인륜적 행위는 용서받기 힘든 역사적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