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업데이트 정보 총정리: 무엇이 바뀌었고, 사용자 반응은?

카카오톡 업데이트 썸네일
2025 카카오톡 최신 업데이트 정보

카카오톡이 2025년 9월 if(kakao)25에서 발표한 대규모 업데이트를 통해 대화의 기본 경험과 AI 기능을 동시에 강화했습니다. 보낸 메시지 수정, 채팅방 폴더, 보이스톡 녹음·전사·요약, 친구탭의 피드 전환, 신규 지금탭 등이 순차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카카오의 AI '카나나'와 외부 LLM 연계를 통해 대화 요약·검색·추천 기능이 확장되는 로드맵이 공개됐고, 데스크톱 환경에선 macOS 12 미만 업데이트 지원 종료가 공지되었습니다. 아래에서 항목별로 바뀐 점과 이용자 평가를 정리합니다.

핵심 업데이트 한눈에

항목 바뀐 점 세부/이용 팁
메시지 수정 보낸 메시지를 일정 시간 내 수정 가능 말풍선에 '수정됨' 표기; 오타·추가 설명 시 유용
채팅방 폴더 대화방을 목적별 폴더로 분류 업무/가족/모임 등으로 정리, ‘안 읽음’ 폴더 미리보기 지원
보이스톡 요약 통화 녹음→텍스트 전사→요약 제공 회의·상담 기록에 적합, 보관·동의 설정 확인 권장
친구탭 피드 연락처 목록→타임라인형 피드로 전환 프로필/게시물 한눈에 보기, 공개 범위·댓글 허용 세밀 설정
지금탭 숏폼·이슈 콘텐츠 모아보기 대화방 공유·오픈채팅 댓글 연동으로 ‘콘텐츠→대화’ 흐름 강화
macOS 공지 macOS 12 미만 업데이트 지원 종료 데스크톱 이용자는 OS 버전 확인 후 업데이트 권장

수정·폴더·안 읽음 미리보기

메시지 수정은 실수 정정과 추가 설명을 가능케 해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낮춥니다. 수정된 메시지는 상대 화면에도 '수정됨'이 표시되어 변조 우려를 줄입니다. 채팅방 폴더는 대화방을 주제별로 묶어 피로도를 감소시키며, '안 읽음' 폴더 미리보기로 읽음 처리 없이도 내용을 훑어볼 수 있습니다.

보이스톡 전사·요약과 대화 보조

보이스톡 녹음·전사·요약은 통화 종료 후 핵심을 말풍선처럼 정리해 회의록 처리 시간을 줄입니다. 카카오의 AI '카나나'와 외부 모델 연계는 대화 요약·검색·추천과 같은 생산성 보조에 초점을 맞춥니다. 

향후 카카오맵·선물하기·멜론 등과 연동되는 ‘에이전트’ 구상이 공개되었으며, 채팅탭에서 곧바로 AI를 불러 쓰는 흐름이 제시되었습니다.

친구탭 피드와 지금탭의 변화

친구탭은 단순 리스트에서 피드형 타임라인으로 바뀌어 친구의 프로필 변경, 게시물, D-Day 등을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소비를 위한 지금탭은 숏폼·이슈를 모아보고 대화방에 공유해 자연스럽게 토론을 이어가도록 설계됐습니다.

생산성은 호평, 피드 전환은 논쟁

  • 호평: 메시지 수정, 폴더, 보이스톡 요약 등 실사용 편의가 커졌다는 평가가 다수입니다.
  • 논쟁: 친구탭의 피드 전환은 “메신저 본연의 단순성 저하”와 “업무용 불편” 지적이 공존합니다. 공개 범위·탭 기본값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이어집니다.

설정 체크리스트

  • 친구탭 공개 범위: 게시물 대상·댓글 허용 설정으로 사생활·업무 경계 관리
  • 폴더 네이밍 룰: ‘업무/가족/모임/쇼핑’ 등 폴더 규칙과 고정핀 병행
  • 보이스톡 보관: 중요한 통화만 녹음·전사 저장, 보관기간·동의 정책 확인
  • 지금탭 알림: 취향·집중도에 맞게 알림 범위 조절
  • 버전 점검: 순차 배포이므로 마켓 버전 확인 후 업데이트, 데스크톱은 OS 버전 확인

마무리

이번 개편은 메신저의 기본기(수정·정리·요약)를 다지면서도 콘텐츠·관계 맥락(피드·지금탭)을 확장하는 방향입니다. 개인은 공개 범위·알림·백업 정책을, 업무 사용자는 폴더·권한·기록 보관 규칙을 정비하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생산성 기능은 대체로 호평이며, 피드 전환은 선택권·설정 정교화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