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대 중과실 교통사고] 벌점과 처벌 수위 및 대처방법 총정리

운전 중 발생하는 사고 중 일부는 보험처리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바로 '12대 중과실'에 해당하는 사고입니다. 이 사고들은 민사책임을 넘어서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는 중대한 위반입니다.

12대 중과실 교통사고
12대 중과실 교통사고

2025년 현재,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은 중과실 항목에 따른 벌점 기준면허정지·취소 기준을 명확히 고시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음주운전 등 일부 항목은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적용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법령과 기준에 기반하여 정확하게 안내드립니다.

12대 중과실이란?

12대 중과실은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3조 제2항에서 명시한 ‘형사처벌이 면제되지 않는 교통사고 유형’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교통사고는 종합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형사처벌이 면제될 수 있으나, 이 12가지 항목은 중대법규 위반으로 간주되어 형사 책임을 면할 수 없습니다.

2025년 기준 12대 중과실 항목

  1. 신호위반
  2. 중앙선 침범
  3. 제한속도보다 20km 초과 과속
  4.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
  5. 무면허운전
  6. 음주운전
  7. 보도 침범
  8. 건널목 통과방법 위반
  9. 앞지르기 방법 위반
  10. 승객 추락 방지의무 위반
  11.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운전 의무 위반
  12. 화물 고정조치 미이행으로 인한 사고

벌점 및 면허 정지·취소 기준

  • 중과실 사고(비인적): 벌점 40점
  • 중상해 사고: 벌점 80점 이상
  • 사망사고: 벌점 90~100점 이상
  • 면허 정지 기준: 벌점 40점 이상부터
  • 면허 취소 기준: 벌점 121점 이상 또는 사망사고 발생
  • 신호위반 사고는 기본 15점
  • 인명 피해 발생시 최대 90점까지
  • 중앙선 침범: 벌점 30점
  • 과속: 벌점 15~60점
  • 무면허 운전: 벌점 100점
  • 보도 침범: 벌점 10점
  • 철길 건널목 통과 위반: 벌점 30점
  • 승객 추락 방지 의무 위반: 벌점 30점
  • 스쿨존 안전 의무 위반: 벌점 30점
  •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벌점 30점
  • 전방주시 태만: 벌점 15점

📌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적용 사례

  • 민식이법: 스쿨존 내 어린이 사망 시 → 징역 3년 이상 ~ 무기징역.
  • 음주운전 사망사고: 징역 1년 이상 15년 이하 or 벌금 1,000만 원 이상.
  • 무면허 사고: 형법 제268조, 도로교통법 제43조 위반으로 형사처벌.

🚘 보험 처리와 형사 책임

  • 자동차 종합보험: 민사책임 보장.
  • 운전자 보험: 중과실 사고 일부 보장 (벌금, 형사합의금 등).
  • 주의: 음주, 무면허, 도주사고는 보장 제외 가능.
  • 피해자가 2-3주 정도 진단을 받은 경상 사고는 합의를 하지 않아도 200-300만원의 벌금형 선고.
  • 피해자가 6주 이상 진단을 받았을 경우 선처를 받기 위해서는 합의 또는 공탁을 고려해야 함.

실제 사례별 처벌 예시

사고 유형 결과 형사처벌 예시
스쿨존 내 어린이 사망 특가법 적용 징역 3년 이상
음주 + 중앙선 침범 + 경상 전치 3주 징역 1년 6개월
신호위반 + 횡단보도 사고 전치 2주 벌금 300만 원 + 벌점 40점
무면허 + 오토바이 충돌 경미한 부상 벌금형 + 면허취소

🛡 운전자 대응 요령

  1. 사고 발생 시 즉시 신고 및 응급조치
  2. 블랙박스 영상 확보
  3. 목격자 확보 및 진술 요청
  4. 운전자 보험 약관 확인
  5. 형사합의는 서면으로 진행

마무리 글

12대 중과실 사고는 단순한 위반이 아닌 형사사건으로 분류됩니다. 짧은 순간의 실수가 운전자에게 큰 법적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 강화된 처벌 규정을 반드시 숙지하고, 교통법규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지키는 길입니다.


📌 출처:

-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28, 별표28의2 (2025년 개정)
-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제5조의13
- 경찰청 운전면허 벌점표 (2025)
- 국가법령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