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부사관 선발 체력평가 기준] 키 시력 자격증 등 10개 항목 총정리
육군 특전사령부는 우수한 군 간부를 양성하기 위해 특전부사관을 정기적으로 모집하고 있습니다. 특전부사관 선발은 단순한 체력검정이나 면접이 아닌, 직무능력, 신체 조건, 정신적 안정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특히 평가 항목은 총 10가지로 구성되며, 서류심사부터 최종 신원조사까지 단계별로 이루어져 공정하고 체계적인 선발이 가능합니다.
1. 직무수행능력 평가 (10점)
해당 항목은 전공, 자격증, 무도 단증, 한국사 능력, 리더십 경험 등을 종합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보유자는 2점, 태권도나 유도 등 공인 무도 단증 보유 시 3점, 군사 관련 전공자나 리더십 활동 경력 보유 시 각각 3점과 2점이 부여됩니다. 단, 모든 자격은 체력평가일 이전에 취득한 것만 인정됩니다.
2. 대면면접 (50점)
군 간부로서 갖춰야 할 태도, 책임감, 국가관, 안보관, 소통 능력, 표현력 등을 평가합니다. 개인면접과 집단면접을 통해 지원자의 인성, 문제 해결능력, 리더십을 전반적으로 확인하며, 면접 태도나 복장, 말투, 자세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됩니다. 평가기준은 항목별로 공개되지 않지만, 자기소개서와 사전 작성자료도 참고됩니다.
3. 신체검사 (합/불)
국군병원 또는 군 지정 민간병원에서 실시되며, 2급 이상의 신체등위를 받아야 합니다. 신체 조건은 남성 161cm/48kg 이상, 여성 155cm/45kg 이상이며 시력은 양안 0.6 이상이어야 합니다. 색맹·색약, 심각한 고도근시는 탈락 사유이며, 수술 이력자는 회복 기간을 고려해 판정됩니다.
4. 인성검사 (합/불)
MMPI 등 공인된 인성검사를 통해 수검자의 정신 건강, 정서 안정성, 대인관계 성향 등을 분석합니다. 결과는 면접 참고자료로 활용되며, 심각한 부적응 경향이 있을 경우 선발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는 면접관이 최종 확인하고 판정의 근거로 사용됩니다.
5. 체력평가 (40점)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턱걸이 또는 오래 매달리기, 240m 왕복달리기, 3km 달리기의 총 5종목으로 평가되며, 종목별 8점 만점입니다. 단 3종목 이상이 등외(3.5점 미만)일 경우 전체 불합격 처리됩니다. 평가 기준은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다르며, 공식 공고문 내 별도 표를 참조해야 합니다.
1. 남군 체력평가 항목별 기준
팔굽혀펴기
점수 | 기준 |
---|---|
8점 | 72회 이상 |
7.5점 | 69~71 |
7.0점 | 66~68 |
6.5점 | 63~65 |
6.0점 | 60~62 |
5.5점 | 57~59 |
5.0점 | 54~56 |
4.5점 | 51~53 |
4.0점 | 48~50 |
3.5점 (등외) | 47회 이하 |
윗몸일으키기
점수 | 기준 |
---|---|
8점 | 86회 이상 |
7.5점 | 83~85 |
7.0점 | 80~82 |
6.5점 | 77~79 |
6.0점 | 74~76 |
5.5점 | 71~73 |
5.0점 | 68~70 |
4.5점 | 65~67 |
4.0점 | 62~64 |
3.5점 (등외) | 61회 이하 |
턱걸이
점수 | 기준 |
---|---|
8점 | 12회 이상 |
7.5점 | 11회 |
7.0점 | 10회 |
6.5점 | 9회 |
6.0점 | 8회 |
5.5점 | 7회 |
5.0점 | 6회 |
4.5점 | 5회 |
4.0점 | 4회 |
3.5점 (등외) | 3회 이하 |
240m 왕복달리기
점수 | 기준 |
---|---|
8점 | 56초까지 |
7.5점 | 57~1'01" |
7.0점 | 1'02~1'06" |
6.5점 | 1'07~1'11" |
6.0점 | 1'12~1'16" |
5.5점 | 1'17~1'21" |
5.0점 | 1'22~1'26" |
4.5점 | 1'27~1'31" |
4.0점 | 1'32~1'35" |
3.5점 (등외) | 1'36" 이상 |
3km 달리기
점수 | 기준 |
---|---|
8점 | 12'30"까지 |
7.5점 | 12'31~12'53" |
7.0점 | 12'54~13'16" |
6.5점 | 13'17~13'39" |
6.0점 | 13'40~14'02" |
5.5점 | 14'03~14'25" |
5.0점 | 14'26~14'48" |
4.5점 | 14'49~15'12" |
4.0점 | 15'13~15'36" |
3.5점 (등외) | 15'37" 이상 |
2. 여군 체력평가 항목별 기준
팔굽혀펴기
점수 | 기준 |
---|---|
8점 | 35회 이상 |
7.5점 | 33~34 |
7.0점 | 31~32 |
6.5점 | 29~30 |
6.0점 | 27~28 |
5.5점 | 26 |
5.0점 | 25 |
4.5점 | 24 |
4.0점 | 23 |
3.5점 (등외) | 22회 이하 |
윗몸일으키기
점수 | 기준 |
---|---|
8점 | 71회 이상 |
7.5점 | 68~70 |
7.0점 | 65~67 |
6.5점 | 62~64 |
6.0점 | 59~61 |
5.5점 | 56~58 |
5.0점 | 53~55 |
4.5점 | 50~52 |
4.0점 | 47~49 |
3.5점 (등외) | 46회 이하 |
오래 매달리기
점수 | 기준 |
---|---|
8점 | 60" 이상 |
7.5점 | 56~59" |
7.0점 | 52~55" |
6.5점 | 48~51" |
6.0점 | 44~47" |
5.5점 | 40~43" |
5.0점 | 36~39" |
4.5점 | 32~35" |
4.0점 | 30~31" |
3.5점 (등외) | 29" 이하 |
240m 왕복달리기
점수 | 기준 |
---|---|
8점 | 1'10"까지 |
7.5점 | 1'11~1'17" |
7.0점 | 1'18~1'24" |
6.5점 | 1'25~1'31" |
6.0점 | 1'32~1'37" |
5.5점 | 1'38~1'43" |
5.0점 | 1'44~1'49" |
4.5점 | 1'50~1'55" |
4.0점 | 1'56~2'01" |
3.5점 (등외) | 2'02" 이상 |
3km 달리기
점수 | 기준 |
---|---|
8점 | 15'00"까지 |
7.5점 | 15'01~15'28" |
7.0점 | 15'29~15'56" |
6.5점 | 15'57~16'24" |
6.0점 | 16'25~16'52" |
5.5점 | 16'53~17'20" |
5.0점 | 17'21~17'48" |
4.5점 | 17'49~18'16" |
4.0점 | 18'17~18'43" |
3.5점 (등외) | 18'44" 이상 |
6. 신원조사 (심의)
국군 방첩사령부의 조사를 통해 군 복무에 적합하지 않은 범죄 전력자, 사회적 문제행동자, 과거 탈선 이력이 있는 경우 선발에서 제외됩니다. 신원조사는 비공개로 진행되며, 해당자는 최종합격자 심의 단계에서 불합격 처리될 수 있습니다.
7.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평가
자기소개서에는 성장과정, 지원동기, 성격, 장단점, 리더 경험, 군 복무 후 목표 등을 논리적이고 진솔하게 작성해야 하며, 문장력이나 표현력도 평가에 반영됩니다. 특히 문항별 구성이 있는 양식을 사용하는 만큼,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서술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8. 대대장 및 주임원사 의견서
현역 복무 중인 병장 이상의 지원자는 병영생활을 함께한 지휘관(대대장, 주임원사)의 의견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해당 의견서에는 리더십, 성실성, 군 생활 태도, 교육훈련 참여도 등이 포함되며, 밀봉 제출됩니다. 비추천 시 심의 후 불합격될 수 있습니다.
9. 군사학·협약대학 관련 가산점
협약대학 이수자, 군사학과 전공자, 관련 과목 이수자는 최대 2점까지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규 학위과정 외에도 군과 협약을 맺은 교육기관에서 정해진 군사과목을 수료한 경우 인정되며, 성적 및 이수학점도 반영됩니다.
10. 자격증·어학·리더십 활동
자격증(정보처리, 응급처치, 드론, 컴퓨터활용능력 등), 어학능력(TOEIC, TEPS 등), 리더십 경험(학생회, 단체장 활동 등)은 종합적으로 평가됩니다. 단순 나열보다 활동의 지속성, 구체적 성과, 연관성 있는 자격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