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고3 7모 과탐 등급컷] 메가 · 대성 · EBSi 모의고사 예상컷 모아보기
![]() |
2026학년도 7월 모의고사 과탐 등급컷 |
메가스터디, 대성마이맥, EBSi 등 주요 입시 기관에서는 이번 시험의 예상 등급컷을 빠르게 공개하고 있으며, 수험생들은 이를 참고하여 9월 평가원 모의평가와 수능을 대비하는 학습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아래에 각 과목별 등급컷 표와 함께 과목 특성, 난이도, 학습 방향에 대한 설명을 정리했습니다.
📘 물리학 I
등급 | 메가 | 대성 | EBSi |
---|---|---|---|
1등급 | 45 | 46 | 45 |
2등급 | 42 | 41 | 41 |
3등급 | 34 | 35 | 34 |
4등급 | 25 | 29 | 25 |
5등급 | 16 | 21 | 18 |
6등급 | 11 | 13 | 11 |
7등급 | 9 | 10 | 9 |
8등급 | 6 | 8 | 6 |
이번 물리학 I은 계산을 요하는 문항에서 시간 압박을 크게 느꼈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단순 암기보다 개념 이해와 빠른 계산 능력의 조합이 요구되었습니다. 그래프 해석과 운동 파트에서 까다로운 문항이 출제되며 변별력이 확보되었습니다.
📘 화학 I
등급 | 메가 | 대성 | EBSi |
---|---|---|---|
1등급 | 42 | 44 | 42 |
2등급 | 36 | 39 | 36 |
3등급 | 31 | 34 | 31 |
4등급 | 24 | 28 | 24 |
5등급 | 18 | 20 | 17 |
6등급 | 13 | 13 | 12 |
7등급 | 9 | 10 | 9 |
8등급 | 7 | 6 | 6 |
화학 I은 실험 기반 문항이 많았으며, 반응속도와 평형 관련 문항에서 학생 간 성적 차가 크게 벌어졌습니다. 실험 상황을 바탕으로 한 분석과 추론 능력이 중요했으며, 기출의 응용을 넘어선 융합형 문제도 등장했습니다.
📘 생명과학 I
등급 | 메가 | 대성 | EBSi |
---|---|---|---|
1등급 | 44 | 43 | 44 |
2등급 | 39 | 39 | 39 |
3등급 | 34 | 35 | 34 |
4등급 | 28 | 30 | 28 |
5등급 | 21 | 25 | 21 |
6등급 | 15 | 17 | 14 |
7등급 | 10 | 12 | 10 |
8등급 | 8 | 9 | 7 |
생명과학 I은 유전 단원에서 고난도 문항이 출제되었으며, 자료 해석과 논리 전개 능력이 중요했습니다. 유전자 연관 분석 문제에서 시간 소모가 컸고, 생명 현상의 원리 이해가 점점 더 강조되고 있습니다. 단순 암기보다는 개념 간 연계 학습이 필요합니다.
📘 지구과학 I
등급 | 메가 | 대성 | EBSi |
---|---|---|---|
1등급 | 47 | 47 | 45 |
2등급 | 42 | 42 | 40 |
3등급 | 36 | 36 | 34 |
4등급 | 27 | 28 | 26 |
5등급 | 20 | 19 | 19 |
6등급 | 14 | 12 | 13 |
7등급 | 10 | 9 | 10 |
8등급 | 7 | 7 | 7 |
지구과학 I은 자료 분석 중심으로 출제되어 계산보다 해석력이 요구되었습니다. 천체 단원에서 난이도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어 상위권과 중위권의 격차가 벌어졌습니다. 핵심 개념의 시각화와 지문 독해력이 성패를 가른 시험이었습니다.
📘 물리학 II
등급 | 메가 | 대성 | EBSi |
---|---|---|---|
1등급 | 43 | 45 | 40 |
2등급 | 30 | 30 | 30 |
3등급 | 20 | 18 | 22 |
4등급 | 14 | 13 | 16 |
5등급 | 12 | 10 | 12 |
6등급 | 9 | 8 | 10 |
7등급 | 7 | 7 | 8 |
8등급 | 5 | 4 | 5 |
물리학 II는 고난도 계산과 복합 개념 문제로 전반적인 체감 난이도가 높았습니다. 전자기 단원에서 정전기력과 자기장의 융합형 문항이 변별력을 확보했습니다. 공식 암기보다 유도 원리를 이해하는 심화 학습이 중요했습니다.
📘 화학 II
등급 | 메가 | 대성 | EBSi |
---|---|---|---|
1등급 | 40 | 41 | 43 |
2등급 | 32 | 28 | 34 |
3등급 | 21 | 21 | 25 |
4등급 | 14 | 15 | 18 |
5등급 | 11 | 12 | 14 |
6등급 | 9 | 9 | 10 |
7등급 | 7 | 7 | 9 |
8등급 | 5 | 5 | 6 |
화학 II는 전기화학과 유기화학 단원에서 심화 응용 문항이 출제되어 상위권에게도 까다로운 시험이었습니다. 실험 결과 해석과 조건 분석이 핵심이었고, 평소 기출 문제의 변형에 익숙한 수험생이 유리했습니다.
📘 생명과학 II
등급 | 메가 | 대성 | EBSi |
---|---|---|---|
1등급 | 42 | 41 | 42 |
2등급 | 32 | 30 | 33 |
3등급 | 21 | 21 | 24 |
4등급 | 15 | 15 | 18 |
5등급 | 12 | 10 | 14 |
6등급 | 9 | 8 | 10 |
7등급 | 8 | 6 | 8 |
8등급 | 5 | 3 | 5 |
생명과학 II는 분자 수준의 복합 문제와 유전 단원의 고난도 문항이 혼합되어 출제되었습니다. 연계 지문 이해와 유추 능력이 요구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수능을 의식한 정밀한 문제 구성이 돋보였습니다.
📘 지구과학 II
등급 | 메가 | 대성 | EBSi |
---|---|---|---|
1등급 | 43 | 40 | 42 |
2등급 | 29 | 27 | 30 |
3등급 | 20 | 18 | 22 |
4등급 | 14 | 14 | 17 |
5등급 | 10 | 11 | 12 |
6등급 | 8 | 8 | 9 |
7등급 | 5 | 6 | 7 |
8등급 | 4 | 4 | 5 |
지구과학 II는 지구 내부와 판 구조론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출제되었으며, 현상 분석형 문항이 많아 높은 분석력이 요구되었습니다. 단순 암기보다 현상 간 인과 관계를 이해하는 사고력이 관건이었습니다.
🧭 9월 모의평가를 위한 전략
7월 모의고사는 실제 수능 출제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리허설입니다. 과학탐구 영역의 경우 과목별 특성과 체감 난이도에 따라 등급컷이 다르게 형성되므로, 단순 점수 비교보다는 각 기관별 기준을 종합적으로 참고해야 합니다.
이제 남은 여름방학은 취약 단원 보완과 기출 분석, 그리고 9월 평가원 모의평가 대비로 이어져야 합니다. 특히 수능과 직결되는 선택 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등급컷에 연연하기보다 실전에서 실수하지 않는 학습 완성도를 목표로 삼아야 할 시점입니다.
출처: 메가스터디, 대성마이맥, EBSi